티스토리 뷰
목차
인사혁신처에서 2025 공무원 봉급표를 확정 고지했습니다. 그동안 MZ세대 공무원 퇴사율 상승으로 고민하던 공무원 사회가 공무원 봉급 인상률 3%라는 파격적인 공무원 봉급 인상을 확정했습니다. 그동안 전년도 대비 동결 또는 1% 대에 머무르던 인상률이라 물가상승률에도 미치지 못했다고 합니다. 오늘은 2025 공무원 봉급표 인상률 총정리 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2025 공무원 봉급표
올해부터 9급 공무원 초임 월급이 처음으로 200만 원 넘었다는 소식입니다. 인사혁신처에서 의결된 2025 공무원 보수 및 수당 등에 관한 규정 개정안이 의결되면서 2025 공무원 봉급 인상률은 3%로 확정되었습니다.
그러나 공무원 처우 개선을 위해 9급 공무원 봉급 인상률은 6.6%로 결정되었습니다.
젊은 연령층의 공무원들이 공무원 사회의 보수적인 문화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었을 뿐만 아니라 일반 회사와 비교했을 때 턱없이 부족한 보수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 아래를 참고하면 2025 공무원 봉급표를 확인 가능합니다.
2025 일반직 공무원 봉급표
일반직 공무원이란 국가 및 지방의 경력직공무원 중 특정직공무원과 기능직공무원을 제외한 모든 공무원을 말합니다. 행정일반 또는 기술, 연구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으로 행정직, 세무직, 검찰직, 토목직, 농림직 등이 이에 해당하는 직렬입니다.
이들에 대한 2025 일반직 공무원 봉급표가 확정되어 인사혁신처에 공지되었습니다.
아래의 봉급표는 일반직 공무원과 일반직에 준하는 특정직 및 별정직 공무원 등의 봉급표를 간단하게 2025 일반직 공무원 봉급표로서 인사혁신처 공식홈페이지에서 발췌했습니다.
⬇️⬇️ 아래의 사진은 2025 일반직 공무원 봉급표입니다.
(사진을 선택하면 더욱 크게 볼 수 있습니다)
2025 경찰공무원 봉급표
2025 경찰공무원 봉급표를 인사혁신처에서 공지했습니다. 경찰공무원은 공무원 직렬 중 위험수당을 받는 직종에 속합니다. 2024년까지는 위험수당 6만 원을 지급받았으나 2025년부터는 위험수당으로 7만 원을 수령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경찰공무원은 2023년 공안직 수준의 봉급을 수령할 수 있도록 변경되면서 보수가 상당히 높아졌는데요. 2025 경찰공무원 봉급표는 인상률 3%를 반영했을 때 어떤 수준인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아래의 사진은 2025 경찰 공무원 봉급표입니다.
(사진을 선택하면 더욱 크게 볼 수 있습니다)
2025 교사 봉급표
2025 교사 봉급표가 확정되었습니다. 2025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사의 봉급은 인상률 3%로 다른 직렬 공무원 인상률과 같습니다. 또한 수당 인상 부분도 있습니다. 보건교사, 영양교사 수당으로 3만 원 받았던 것이 4만 원으로 변경, 사서 교사 수당은 2만 원에서 3만 원으로 변경, 전문상담교사 수당은 2만 원에서 3만 원으로 변경, 전문상담순회교사 수당도 2만 원에서 3만 원으로 변경되었습니다.
⬇️⬇️ 아래의 사진은 2025 교사 봉급표입니다.
(사진을 선택하면 더욱 크게 볼 수 있습니다)
2025 군인 봉급표
의무 복무로 국방의 의무를 다하는 사병의 월급보다 적다는 지적으로 논란이 되었던 군인 초급 간부 봉급 해프닝이 있었습니다. 2025 군인 봉급표에 얼마나 반영이 되었는지 많이 궁금했을 겁니다.
군인에 대한 처우는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만큼 개인적으로는 대폭 상승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 아래의 사진은 2025 군인 봉급표입니다.
(사진을 선택하면 더욱 크게 볼 수 있습니다)
2025 공안직 봉급표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 및 관리하는 직종을 공안직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인 직렬로는 교정직 공무원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검찰직, 보호직, 출입국관리직, 철도경찰직 등 다양한 직종이 있습니다.
2025 공안직 봉급표는 어떻게 확정되었는지 함께 살펴봅시다.
⬇️⬇️ 아래의 사진은 2025 군인 봉급표입니다.
(사진을 선택하면 더욱 크게 볼 수 있습니다)
맺음말
2024년 12월 31일 인사혁신처 의결을 거쳐 확정된 2025 공무원 봉급표가 공시되었습니다. 물가상승 및 퇴사율 등을 고려해 공무원 봉급 인상률을 3%로 확정했습니다.
또한 다양한 수당 지급과 복지가 개선되었습니다. 예를 들면 민원업무에 종사하는 공무원에게 월 3만 원의 민원 업무 수당이 지급됩니다. 이는 갈수록 고도화되는 민원에 따른 민원 업무 기피에 따른 고육지책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복지면에서는 육아 휴직 지원이 대폭 강화되었습니다. 육아휴직 수당 상한액은 150만 원에 그쳤지만 2025년 육아 휴직 수당은 250만 원으로 상향 확정되었고, 육아휴직 기간은 승진 경력으로 인정한다는 방침입니다. 이것은 그대로 2025 공무원 봉급표에 반영되었습니다.
이렇듯 공무원 사회에도 다양한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그러한 일환으로 7~9급 하위직 공무원의 초급 봉급을 대폭 인상해 주긴 했지만 7~9급 공무원은 근무를 하면서 자신보다 상급자의 봉급을 알게 될 것이고, 훗날 자신이 걷고 있을 선배의 봉급표를 보고 미래에 대한 고민을 해결해야 하는 딜레마에 빠지게 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2025 공무원 보수표 보다 훨씬 더 높게 공무원의 봉급이 책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공무원의 보수는 현시대에 맞게 다시 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단순하게 생각했을 때 과거에는 직접 찾아오는 방문 민원만 상대했다면 이제는 온라인으로 접근 가능한 민원을 모두 응대해야 하기 때문에 업무는 더욱 과중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사회보다 10년 앞서고 있다는 일본을 보면 불가 몇 년 전 공무원의 봉급을 20~30% 인상해 탈공무원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했다고 합니다.